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중국의 희토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송영란
  • 편집부
  • 등록 2020-06-10 12:56:11
  • 수정 2020-08-19 03:21:00
기사수정

국내 희토 신소재산업 자립을 위한 생태계 조성 및 기술 개발 동향 (1)

중국의 희토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송영란 _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팀장

 

1. 희토자원국에서 희토강국으로

변화중인 중국

중국이 희토자원국에서 희토강 국으 로 변화 중에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희토 자 원국이며 생산 국이자 소비국이다 1) . 글로벌 희토 자 원 부 존량의 36.7%인 4,400만 톤을 보유한 중국은 전 세계에 약 70.6%에 달하는 12만 톤의 희토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미국지질조사국의 최신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글로벌 희토자원 부존량은 1억2천만 톤이며, 연간 생산량(rare earth oxides; REO)은 17 만 톤 규모이다. 전 세계 약 57%의 희토제품을 소비 하는 중국은 2018년 희토 수입물량이 처음으로 수 출량을 훨씬 넘어서서 세계 최대의 희토 수입국이 되었다. 2018년 중국의 희토 수출량은 5만3,031.4톤 으로 전년대비 3.6% 소폭 증가한 반면에, 수입량은 179.9% 대폭 상승한 9만8,411톤을 기록하였다.2) 최근 몇 년간 희토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중국정 부는 희토산업발전정책을 속속 제정하고, 관련 기 업 통폐합 및 본격적인 산업 재정비 등 지속적으로

3)  “중국 희토산업 발전규획(2016~2020년)”을 발표하 여 희토자원보호 강화, 희토광채굴 및 생산 질서 규 범화에 나섰다. 중국 전역의 22개의 희토광산과 54 개의 제련분리기업에 대한 통폐합과 인수합병을 단행하여 2016년 말까지 6대 희토국유기업그룹4)의 구도를 갖추었다. 2018년에 들어서서 공업정보화부를 비롯한 12개의 부처로 구성된 범부처간 연합감독관 리체제를 구축하여 희토산업의 고도화 발전추진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내 희토신소재산업 자립을 위한 생태계 조성이 시급한 가운데, 중국의 희토산업정책 및 기술동향 을 파악하고 양국간 협력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2. 희토자원 분포

중국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17종의 희토류를 보유한 국가로 매장량은 세계 1위이다. 17종의 희토원소 는 원소기호와 용도에 따라 경(輕)희토, 중(中)희토, 중(重)희토로 분류할 수 있다. 란타늄(La)·세륨(Ce)· 프라세오디뮴(Pr)·네오디뮴(Nd)은 경희토원소, 프로 메튬(Pm)·사마륨(Sm)·유로퓸(Eu)·가돌리늄(Gd)은 中희토원소, 테르븀(Tb)·디스프로슘(Dy)·홀뮴(Ho)· 에르븀(Er)·톨륨(Tm)·이테르븀(Yb)·루테튬(Lu)·스 칸듐(Sc)·이트륨(Y)은 重희토원소에 각각 속한다. 중국 자연자원부 광산개발국은 “중국 광산자원 주요 광종 개발이용수준 및 정책제언”(´02.9)에서 희토자원 총매장량과 가채매장량이 각각 9,443만 500톤과 2,741만9,300톤이라 밝혔다.

 

-----------이하 생략

 

<본 사이트에는 일부 내용이 생략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세라믹코리아 20203월호를 참조바랍니다. 정기구독하시면 지난호보기에서 PDF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03미코하이테크 large
02이삭이앤씨 large
대호CC_240905
EMK 배너
09대호알프스톤
01지난호보기
월간도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