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2024년 나노융합성과전 및 기술교류회 개최
  • 이광호
  • 등록 2024-12-31 15:00:28
  • 수정 2025-01-06 10:41:22
기사수정


2024년 나노융합성과전 및 기술교류회 개최


- 나노분야 대표 연구개발 사업의 우수 나노기술 연구성과 공유

- 나노분야 연구개발 과제 책임자 및 연구자 소통 및 협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대전KW컨벤션에서 ‘2024년 나노융합성과전 및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 (자료제공: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나노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성과 공유 및 교류 촉진을 위해 ‘2024년 나노융합성과전 및 기술교류회’(이하 ‘나노융합성과전’)를 11월 28일 대전 KW컨벤션에서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나노융합성과전은 2012년부터 매년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다. 올해로 13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행사는 나노기술 연구현황과 성과를 공유하는 산학연 교류의 장이자 부처 간 교류 확대 및 기초원천-사업화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행사이다. 


  특히 올해는 기술교류회도 개최하여, 나노분야 대표사업(과기정통부 :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산업부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및 첨단나노소재적용 미래전략산업수요연계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산·학·연 연구자 200여명이 연구 현황 및 성과를 공유하고, 나노분야 연구개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나노기술 연구·산업계 포상]

이날 행사에서는 그동안 나노기술 연구혁신과 나노융합 신기술 및 산업발전에 공로가 큰 나노 연구 및 기술인에 대해 포상했다.

  EV 난방용 나노탄소 기반의 복사워머모듈 개발한 ㈜테라온 김윤진 대표이사가 대통령 표창(산업부)을, 황화구리 나노소재를 이용해 항균/항바이러스 섬유제품 개발 선도에 기여한 ㈜코오롱글로텍 황종현 팀장이 국무총리 표창(산업부)을 수상했다.


김윤진 테라온 대표(右)가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고 권현준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황종현 코오롱글로텍 팀장(右)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고 권현준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아울러 나노융합 기술·산업 공로자에 대해 과기정통부 장관표창 4점, 산업부 장관표창 4점이 각각 수여됐고, 나노영챌린지2024 최우수팀 및 나노소자경연 최우수자는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기조 강연]

이날 기조강연에서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김우열 교수가 ‘나노촉매의 시분해 실시간 분석’에 대해 강연했다. 

  김우열 교수는 나노촉매의 실시간 분석으로 촉매 작동원리를 밝혀내고 그 반응에 맞는 촉매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여 기술이전(기술이전 : 맞춤형 공기정화 촉매 기술 23억원에 이전(’23.8월, ㈜에코금강)) 및 창업을 진행하였고, 지난 ‘나노코리아 2024 (7.3~7.5)’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바 있다. “나노촉매가 이산화탄소 저감, 실내공기질 제어, 배터리 고속 및 완속 충·방전 등 국제 환경 현안 해결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두 번째 기조강연은 세계 최초로 카드뮴 없는(Cd-Free) 양자점 디스플레이(QLED TV)를 상용화한 성균관대학교 장은주 교수(전 삼성전자 펠로우(Fellow))가 ‘양자점 기술 사업화 사례와 미래방향’에 대해 강연했다.


  장은주 교수는 “나노입자인 양자점의 디스플레이 산업화가 성공한 요인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핵심 특성 기술의 조기 확보와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화”라며 “양자점 나노소재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기술은 텔레비전 적용에 이어, 양자점 레이저, 양자점 광검출기, 양자정보통신 등에 활용되어 적용분야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술교류회] 

금번 행사에서는 연구자 간 협력·교류 촉진을 위해 기술교류회를 새롭게 개최하였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에서 현재 수행 중인 나노 연구개발 사업의 총 147건 과제 과기정통부 : 나노 미래소재 원천기술개발사업 (①선도형/②경쟁형/③도전형) 78건, 산업부 :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 및 첨단나노소재적용 미래전략산업수요연계기술개발 사업 69건

의 연구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총 8개 분과(①반도체, ②디스플레이, ③나노감지기(센서), ④수소, ⑤재생에너지, ⑥이동수단(모빌리티), ⑦생명과학, ⑧생활·환경)로 구성하여 각 분과마다 대표 연구 성과들을 발표한 뒤 토론·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과기정통부 권현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나노기술은 전산업 혁신을 촉발하는 ‘대표 기술’로서 현재 우리나라의 첨단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도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라며 “나노기술이 싹트기 시작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를 넘어서 우리가 보유한 나노 핵심원천기술이 조기에 산업화되어 우리나라 산업의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산업부 김종주 섬유탄소나노과장은 “나노기술은 첨단산업의 기술 초격차 달성의 핵심 수단”임을 강조하면서, “우수한 나노기술의 성과가 우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첨단 나노소재 적용확산에 방점을 두고 다양한 성공사례가 창출될 수 있는 산업생태계 구축을 추진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Ceramic Korea (세라믹뉴스)=이광호 ]


<자세한 내용은 세라믹코리아 2025년 1월호를 참조바랍니다. 정기구독하시면 지난호보기에서 PDF 전체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세로형 미코
03미코하이테크 large
세로형 한달코
02이삭이앤씨 large
오리엔트
미노
삼원종합기계
진산아이티
케이텍
해륭
대호CC_240905
EMK 배너
01지난호보기
월간도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