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제1차 파인세라믹스산업 상생협력 교류회 개최
강릉시 지역연계형 첨단세라믹산업 산학연 협력 모색
- 산업 간 교류와 협력을 통한 파인세라믹스 생태계 조성 본격화
- 4월 23일~24일 강릉 세인트존스호텔
상생협력 교류회 세미나 전경
파인세라믹스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산·학·연·관 간의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2025년도 제1차 파인세라믹스산업 상생협력 교류회’가 지난 4월 23일부터 24일까지 이틀간 강릉 세인트존스호텔에서 개최됐다.
(사)한국파인세라믹스협회(회장 전선규)와 (재)강원TP신소재센터(센터장 노범식)가 공동 주관하고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파인세라믹스 서경포럼이 공동 후원으로 열린 이번 교류회는 김남수 강릉과학산업진흥원장, 김상영 강릉시 부시장, 이기성 한국세라믹학회 수석부회장, 강원TP 노범식 센터장, 파인세라믹스 서경포럼 김원식 회장 등 파인세라믹스 산·학·연·관 관계자 70여 명이 참석했다.
![]() | ![]() | ![]() |
김남수 강릉과학산업진흥원원장 개회사 | 김상영 강릉시 부시장 환영사 | 이기성 한국세라믹학회 수석부회장 축사 |
개회식은 김남수 강릉과학산업진흥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김상영 강릉시 부시장의 환영사, 그리고 이기성 한국세라믹학회 수석부회장(차기 학회장)의 축사로 이어졌다. 이들은 모두 파인세라믹스 산업의 미래 가치와 이번 교류회가 갖는 실질적 의미를 강조했다.
핵심 기술과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된 발표 세션
이번 교류회의 핵심은 산업 현장의 수요와 첨단 기술 동향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세미나 세션이었다. 각 세션에서는 다양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해 실제 적용 사례 및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로 진행된 세션에서는 한국전기연구원 김형우 차세대반도체연구센터장이 ‘SiC 전력반도체 소재 기술 및 시장 동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SiC의 고내열성과 전력 효율 특성을 중심으로,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재로서의 가능성과 산업적 활용 사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관련 생태계의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후 두 번째 세션에서는 국민대학교 이기성 교수가 ‘항공우주산업분야 적용을 위한 세라믹 코팅기술의 현황과 미래’를 발표했다. 항공우주 등 고온 환경에서 요구되는 내열 소재 개발의 흐름 속에서, 세라믹 코팅의 기술적 진보와 산업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가 이어졌다.
그 다음으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박성대 수석연구원은 ‘AI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 동향’ 발표를 통해 고성능 AI 반도체 구현을 위한 고밀도 집적기술과 관련한 신소재 수요 확대, 열 제어 기술 등의 핵심 요소를 짚었다.
네 번째 세션은 첨단세라믹 기업들이 자사의 기술과 사업내용을 소개하는 시간으로 꾸려졌다.
㈜태멘테크 임욱 대표이사는 회사의 LTCC 관련 기술력과 제품 개발 현황을 소개했고, 쓰리디컨트롤즈 김진욱 팀장은 자사의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세라믹 부품 제조 및 양산 사례를 중심으로, 소량 다품종 생산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방안을 공유했다.
마지막으로 노범식 강원테크노파크 글로벌사업단 신소재센터장은 강원지역의 파인세라믹스 클러스터 조성 계획과 글로벌 연계 전략을 발표하며, 지역 중심의 산업 생태계 구축 의지를 밝혔다.
한편 이날 참석한 참석자들은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 간담회 및 기술정보·인적 교류를 통해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전략, 생산·기술 분야의 인력 확보 방안, 현장의 애로사항과 정책적 지원 필요성 등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실질적인 상생협력 방안 논의하며 마무리
이후 저녁 만찬과 네트워킹 시간을 가진 산·학·연·관 관계자들은 보다 깊은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교류회는 기술 중심의 발표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현장 경험과 지역의 정책적 비전을 함께 나누는 통합적 교류의 장으로 기능했다. 참석자들은 파인세라믹스 산업이 향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류의 지속성과 실질적 협력이 중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박미선 기자
<자세한 내용은 세라믹코리아 2025년 5월호를 참조바랍니다. 정기구독하시면 지난호보기에서 PDF 전체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