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25-03-18 20:18 (Tue)
뉴스종합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바이오
에너지/환경
우주/항공
인공지능/로봇
전기/전자/통신
3D프린팅
생활세라믹스
전기차 리튬배터리 충전 15분이면 완충
전기차 리튬배터리 충전 15분이면 완충- KAIST, 새로운 리튬이온전지 전해질 용매 ‘isoBN’ 개발(좌측; a) 고속 충전 리튬이온 배터리의 isoBN 용매 기작 모식도. (우측; 상단 b) EC/DMC 및 isoBN/DMC 전해질의 점도 및 이온 전도도. (우측; 상단 c) 용매 분자가 Li+과 결합하는 결합 에너지. (우측; 하단 d) EC/DMC 및 isoBN/DMC 전해질의 솔베이션 구조 차이...
특집
특집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전고체배터리 기술 현황과 전망 - 김경수
Special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최신 기술 개발 동향(1)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전고체배터리 기술 현황과 전망김경수_한국전자기술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수석연구원1. 서론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전기자동차(EV)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에 대한 관심이 뜨겁...
기고/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_청자 원앙모양 연적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청자 원앙모양 연적 靑瓷鴛鴦形硯滴글_김대환 동곡뮤지엄 관장·문화유산 평론가사진1) 「청자 원앙모양 연적」 고려시대. 길이: 9cm, 넓이: 3.8cm, 높이: 8cm 원앙새는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된 보호종으로 예로부터 부부의 백년해로를 상징하는 길조로 부부간의 금슬이나 다산을 상징한다. 항상 암컷과 ...
세라미스트광장
세라미스트광장
목포대-전남TP 세라믹산업센터, 인재양성 및 공동연구 상호협력한다
목포대-전남TP 세라믹산업센터, 인재양성 및 공동연구 상호협력한다- 미래 첨단 소재 산업 인재 양성 및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 에너지화학공학과 등 국립목포대 관련학과 실습교육에 크게 기여이상찬 목포대 대외협력부총장(앞줄 왼쪽 네 번째)과 최광표 전남TP 세라믹산업센터장(앞줄 왼쪽 다섯 번째)이 협약식에서 양기관 관계자와 함께 ...
지난호보기
구독/광고신청
구독신청
광고문의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캘린더
인사동정(인사,동정,결혼,부고)
세라믹관련사이트
Top
홈
커뮤니티
공지사항
공지사항
Total 88 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8
‘2025 석영유리 기술 교류회’ 개최 안내
관리자
2025-03-05
141
87
도자기조합, 중국 광저우 세라믹 수출컨소시…
관리자
2025-02-11
350
86
2025 세라믹산업 협력 컨퍼런스 개최 안내
관리자
2025-01-16
655
85
2024년 세라믹의 날 행사 안내
관리자
2024-10-14
1450
84
2024 한국세라미스트 친선 골프대회 안내
관리자
2024-09-30
1969
83
로그인 오류시 확인 부탁드립니다.
이광호
2024-08-22
2420
82
'한국세라믹산업연구조합’ 창립행사 안내
관리자
2024-07-26
2931
81
2024년도 세라믹산업 유공자 추천(신청) 안내
관리자
2024-07-26
3242
80
파인세라믹스협회, 중국 선전(심천) 산업시찰…
관리자
2024-07-12
3660
79
27기 미디어 취재기자 교육생 모집
운영자
2024-05-07
3537
1
2
3
4
5
6
7
8
9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이번달 많이 본 기사
1
미코(MiCo) 핵심 사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을 위한 동탄 인프라 확장
2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정부가 직접 인증한다
3
고안전성 향상을 위한 전고체 배터리 - 이상민
4
기재부 ‘원스톱 수출 119’, 세라믹 등 강릉 수출기업 현장 지원
5
GIST, 단순 열처리만으로 친환경 건식 포토레지스트 개발
6
전고체전지용 황화물 기반 하이브리드 고체 전해질의 기술 개발 동향 - 김동원
7
삼성D, ‘MWC 2025’에서 ‘OCF 리더십’으로 휘도·디자인 혁신 선보여
8
‘기능성 탄소 보호층’을 통한 차세대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9
KAIST, AI 기반 화재 걱정없는 고효율 아연-공기 배터리 개발
10
‘2025 석영유리 기술 교류회’ 4월 3일 금오공대에서 개최한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