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25-04-19 06:15 (Sat)
뉴스종합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나노/바이오
에너지/환경
우주/항공
인공지능/로봇
양자
전기/전자/통신
3D프린팅
생활세라믹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부산대·인천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신소재 개발- 과산화마그네슘의 근분화 촉진 및 면역 조절 기전 규명- 전쟁·우주 등 극한 환경 응급 치료 전략 기대왼쪽부터 한동욱 부산대 교수, 박경민 인천대 교수, 강문성 부산대 박사후 연구원, 강전일 인천대 박사과정. (자료제공: 부산대)...
특집
특집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Special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최신 기술 개발 동향(2)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김화정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박사후 연구원백승욱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책임연구원1. 서론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더 안전하고 높은 성능...
기고/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_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글_김대환 동곡뮤지엄 관장·문화유산 평론가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
세라미스트광장
세라미스트광장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강원대 전경. (자료제공: 강원대)강원대학교(총장 정재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 과제에 선정됐다고 4월 16일 밝혔다.‘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
지난호보기
구독/광고신청
구독신청
광고문의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캘린더
인사동정(인사,동정,결혼,부고)
세라믹관련사이트
Top
홈
뉴스종합
나노/바이오
나노/바이오
나노/바이오
기능성 점토 바이오클린룸 시설 준공식
[새창]
편집부
2021-11-30
나노/바이오
리튬-황 전지 성능 높일 다공성 2차원 무기질 나노소재 개발
[새창]
편집부
2021-11-02
나노/바이오
과기정통부,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새창]
편집부
2021-07-01
나노/바이오
충청북도, 바이오세라믹 소재기업 역량강화 사업 8개 기업 선정
[새창]
편집부
2021-05-27
나노/바이오
세라믹 나노 코팅층 활용, 대용량 음극소재 개발
[새창]
편집부
2021-05-27
나노/바이오
나노람다코리아, 초소형 디지털 나노 분광센서 상용화 성공
[새창]
편집부
2021-04-30
나노/바이오
뼈 재생 가능한 메카노바이오 활성 압전소재 개발
[새창]
편집부
2021-04-29
나노/바이오
빛의 연쇄증폭반응 보이는 광사태 나노입자 세계 최초 발견
[새창]
편집부
2021-03-03
나노/바이오
빛 영원히 가두는 나노평면구조체 개발
[새창]
편집부
2021-03-03
나노/바이오
산화알루미늄 나노입자로 열 방출경로 확보
[새창]
편집부
2021-01-28
나노/바이오
정부, 나노 및 소재 원천기술개발에 2,879억원 투자
[새창]
편집부
2021-01-28
나노/바이오
기능성 일라이트 복합소재를 활용한 생활용품 개발
[새창]
편집부
2021-01-28
나노/바이오
2차원 신소재를 1차원 리본으로 오려내는 나노 가위 기술 개발
[새창]
편집부
2020-12-03
나노/바이오
부산대, 벤젠으로 다공성 나노소재 제조 기술 개발
[새창]
편집부
2020-11-05
나노/바이오
나노필터로 알록달록한 태양전지 만든다
[새창]
편집부
2020-11-05
나노/바이오
그래핀·은나노, 첨단소재 분야 국제표준 2종 제정
[새창]
편집부
2020-09-29
나노/바이오
KIST·서울대, 탄소나노튜브섬유 상용화 이끌 핵심 제조 기술 개발
[새창]
편집부
2020-09-04
나노/바이오
희토류 사용 줄이면서 더 강한 자성 갖는 나노자석 개발
[새창]
편집부
2020-09-04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이번달 많이 본 기사
1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민관 협의체 출범
2
원주시, 디에스테크노 등 반도체 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 체결
3
강원도, 2025년 제1회 반도체기업 투자유치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4
고에너지밀도 전고체전지용 저두께 고체전해질막 기술 개발 동향_신동옥
5
미래나노텍, 히든 디스플레이 폼펙터로 자동차 및 가전 부품 시장 진출
6
부산시,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 모색
7
고용량 및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를 위한 실리콘 음극기술_박현중
8
전기연-재료연 공동 연구, ‘분무 건조’ 기법으로 고용량 이차전지 개발
9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10
정부,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품목 밀착 관리한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