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25-04-19 22:21 (Sat)
뉴스종합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나노/바이오
에너지/환경
우주/항공
인공지능/로봇
양자
전기/전자/통신
3D프린팅
생활세라믹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부산대·인천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신소재 개발- 과산화마그네슘의 근분화 촉진 및 면역 조절 기전 규명- 전쟁·우주 등 극한 환경 응급 치료 전략 기대왼쪽부터 한동욱 부산대 교수, 박경민 인천대 교수, 강문성 부산대 박사후 연구원, 강전일 인천대 박사과정. (자료제공: 부산대)...
특집
특집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Special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최신 기술 개발 동향(2)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김화정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박사후 연구원백승욱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책임연구원1. 서론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더 안전하고 높은 성능...
기고/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_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글_김대환 동곡뮤지엄 관장·문화유산 평론가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
세라미스트광장
세라미스트광장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강원대 전경. (자료제공: 강원대)강원대학교(총장 정재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 과제에 선정됐다고 4월 16일 밝혔다.‘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
지난호보기
구독/광고신청
구독신청
광고문의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캘린더
인사동정(인사,동정,결혼,부고)
세라믹관련사이트
Top
홈
특집
특집
특집
전남테크노파크 세라믹산업센터 첨단세라믹산업 전문기업 육성과 인프라 운영현황_박일천
Special 첨단 소부장산업 육성을 위한 우리 기관의 기업지원사업 현황과 방향 첨단세라믹 기업과 산업육성의 거점기관 「전남테크노파크 세라믹산업센터」첨단세라믹산업 전문기업 육성과 인프라 운영...
2024-01-26
강원테크노파크 신소재센터 창업육성 및 기업지원사업 현황과 방향_노범식
Special 첨단 소부장산업 육성을 위한 우리 기관의 기업지원사업 현황과 방향 강원테크노파크 신소재센터 창업육성 및 기업지원사업 현황과 방향 노범식_강원테크노파크 신소재센터 센터장 첨단...
2024-01-26
한국세라믹기술원의 창업육성 및 기업지원사업 현황과 방향_김경훈
Special 첨단 소부장산업 육성을 위한 우리 기관의 기업지원사업 현황과 방향 한국세라믹기술원의 창업육성 및 기업지원사업 현황과 방향 김경훈_한국세라믹기술원 산업지원본부 본부장 이민호_한국세...
2024-01-26
국가 간 CO2-free 수소 운송 기술: 암모니아(NH3) 합성 및 분해_손현태
SPecial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에너지 기술 개발 및 산업 응용 동향 국가 간 CO2-free 수소 운송 기술: 암모니아(NH3) 합성 및 분해 손현태_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2023-12-28
상온작동 고체수소 저장기술의 개발 동향_서진유
SPecial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에너지 기술 개발 및 산업 응용 동향 상온작동 고체수소 저장기술의 개발 동향 서진유_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심재혁_한국과학기술연...
2023-12-28
고온수전해(SOEC) 청정수소 제조 기술 동향_김선동
Special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에너지 기술 개발 및 산업 응용 동향 고온수전해(SOEC) 청정수소 제조 기술 동향 김선동_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1. 서론 기후변화의 원인을 한두 가...
2023-12-28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그린수소 생산기술_최승목
SPecial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에너지 기술 개발 및 산업 응용 동향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그린수소 생산기술 최승목_한국재료연구원 그린수소재료연구실 책임연구원 1. ...
2023-12-28
고분자전해질 수전해(PEMEC) 개발기술과 촉매 사용을 통한 저비용 고성능 생산기술_유성종
Special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에너지 기술 개발 및 산업 응용 동향 고분자전해질 수전해(PEMEC) 개발기술과 촉매 사용을 통한 저비용 고성능 생산기술 유성종_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연구...
2023-12-28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부하변동 대응형 고밀도 알칼라인 수전해 핵심 기술 개발_이창수
SPecial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에너지 기술 개발 및 산업 응용 동향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부하변동 대응형 고밀도 알칼라인 수전해 핵심 기술 개발 이창수_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단 선...
2023-12-28
6G 주파수대역 흡수체로서의 산화철 자성소재 연구동향 _백연경
Special 국가 전략소재 희토류 기술 개발 및 공급망 확보 동향(2) 6G 주파수대역 흡수체로서의 산화철 자성소재 연구동향 백연경_한국재료연구원 분말재료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이정구_한국재료연구원 ...
2023-11-30
K-배터리 원료광물(Ni, Li, V)의 지질학적 부존 특성 및 자원 잠재성 평가 _고상모
Special 국가 전략소재 희토류 기술 개발 및 공급망 확보 동향(2) K-배터리 원료광물(Ni, Li, V)의 지질학적 부존 특성 및 자원 잠재성 평가 고상모_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1. 핵심광물과 배터...
2023-11-30
Nd 저감/대체형 고특성 희토류 영구자석소재기술 연구개발 동향_이정구
Special 국가 전략소재 희토류 기술 개발 및 공급망 확보 동향(2) Nd 저감/대체형 고특성 희토류 영구자석소재기술 연구개발 동향 김수민_한국재료연구원 자성재료연구실 기술기원차희령_한국재료연구...
2023-11-30
세계 희토류 자원산업과 각국의 공급망 구축 현황_이진영
Special 국가 전략소재 희토류 기술 개발 및 공급망 확보 동향(1) 세계 희토류 자원산업과 각국의 공급망 구축 현황 이진영_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연구본부 책임연구원 Ⅰ. 서언 희토류는 178...
2023-10-31
도시광산으로부터 희토류 재자원화 기술 동향 및 전망_송명석
Special 국가 전략소재 희토류 기술 개발 및 공급망 확보 동향(1) 도시광산으로부터 희토류 재자원화 기술 동향 및 전망 송명석_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 선임연구원박상민_한국생...
2023-10-31
희토류 분야 표준화 현황과 우리나라의 전략 및 과제_김범성
Special 국가 전략소재 희토류 기술 개발 및 공급망 확보 동향(1) 희토류 분야 표준화 현황과 우리나라의 전략 및 과제 김범성_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1. 희토류의 정의와 산업 현황 국제 순...
2023-10-31
제14회 「디스플레이의 날」 기념식 개최
제14회 「디스플레이의 날」 기념식 개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는 9월 21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디스플레이 산업 유공자, 업계 대표 임직원과 일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14회 디스...
2023-10-31
세계 최대규모 「이차전지 화재시험센터」 개소
세계 최대규모 「이차전지 화재시험센터」 개소 센터 전경. (자료제공: 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은 강원도 삼척에 세계 최대규모(30MW)의 이차전지 화재시험...
2023-10-31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 확보 방안 모색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 확보 방안 모색 무기발광산업 육성 얼라이언스 모습. (자료제공: 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8월 29일,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회의실에서 유기발광다이...
2023-10-31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이번달 많이 본 기사
1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민관 협의체 출범
2
원주시, 디에스테크노 등 반도체 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 체결
3
강원도, 2025년 제1회 반도체기업 투자유치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4
고에너지밀도 전고체전지용 저두께 고체전해질막 기술 개발 동향_신동옥
5
미래나노텍, 히든 디스플레이 폼펙터로 자동차 및 가전 부품 시장 진출
6
부산시,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 모색
7
고용량 및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를 위한 실리콘 음극기술_박현중
8
전기연-재료연 공동 연구, ‘분무 건조’ 기법으로 고용량 이차전지 개발
9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10
정부,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품목 밀착 관리한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