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소재 거점(HUB) 전문가 기술교류회 개최
- 인공지능·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방법론을 공유
- 신규 연구주제 발굴 추진
소재 거점(HUB) 개념도. (자료제공: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를 활용하는 소재 연구자 간 교류를 위한 ‘소재 거점(허브, HUB) 전문가 기술교류회’를 4월 10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김성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을 비롯하여 인공지능·데이터 전문가, 소재 연구자, 기업관계자 등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 진행됐다.
소재 분야는 인공지능·데이터 접목으로 혁신을 이룰 것으로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로 이러한 시도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23년 11월 구글 딥마인드는 소재용 인공지능 모형 구글놈(GNoME)을 통해 220만 개의 새로운 무기화합물을 발견하고 이 중 안전성이 확인된 후보 물질 38만1천 개를 추려내는 데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도 작년 4월 「소재 연구데이터 활용 생태계 구축 전략」을 발표하고 인공지능·데이터를 소재연구에 활용하는 연구실인 소재 거점(허브, HUB)를 10개 지정한 데 이어, 올해도 6개를 추가 지정한다.
각 소재 거점(허브, HUB)은 △데이터 △탐색·설계 △소재 구현 △측정·분석 △공정재현검증 전문가가 한 팀을 이루어 소재 연구개발 전과정에 걸쳐 고품질 소재 연구데이터를 생산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인공지능 모형은 현재 구축 중인 ‘소재 연구데이터 생태계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에 올려져 공개되며 올해 말 시범 서비스가 개시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이상관 소재혁신선도본부장의 소재 거점(허브, HUB) 사업 소개를 시작으로, 유수현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의 소재 연구데이터 생태계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구축 및 연계 계획에 대한 설명이 진행되었다. 이후, 어광준 한국재료연구원 책임연구원의 이동수단(모빌리티)용 경량금속소재 거점(허브) 구축 사례 발표 후 자유 토론 및 의견 제안이 이어졌다.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연구자들이 관심 분야별 산학 협력지구(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연구주제를 발굴할 예정이며, 발굴된 후보주제 가운데 차년도 과제가 추진될 계획이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오늘날 인공지능은 연구개발 혁신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기반 소재연구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기반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Ceramic Korea (세라믹뉴스)=이광호 ]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