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25-04-16 06:23 (Wed)
뉴스종합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나노/바이오
에너지/환경
우주/항공
인공지능/로봇
양자
전기/전자/통신
3D프린팅
생활세라믹스
부산시-부산대학교, 양자 연구·산업 육성 및 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 체결
부산시-부산대학교, 양자 연구·산업 육성 및 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 체결- 부산대학교 양자과학기술센터에서 협약식 열려- 시, '부산시 양자산업육성을 위한 비전 및 전략' 발표박형준 부산시장(우)과 최재원 부산대학교 총장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 모습. (자료제공: 부산시)양자과학기술센터 현판식에서 주요 참석자...
특집
특집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Special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최신 기술 개발 동향(2)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김화정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박사후 연구원백승욱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책임연구원1. 서론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더 안전하고 높은 성능...
기고/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_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글_김대환 동곡뮤지엄 관장·문화유산 평론가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
세라미스트광장
세라미스트광장
원자력안전기술원, 임승철 신임 원장 취임
원자력안전기술원, 임승철 신임 원장 취임임승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신임원장이 취임사를 하고 있다. (자료제공: KINS)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KINS)은 제14대 원장으로 임승철(前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처장) 박사가 4월 14일 취임했다고 밝혔다. 임기는 2025. 4. 14. ~ 2028. 4. 13까지 3년이다.임승철 신임 원장은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를 ...
지난호보기
구독/광고신청
구독신청
광고문의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캘린더
인사동정(인사,동정,결혼,부고)
세라믹관련사이트
Top
홈
뉴스종합
이차전지/배터리
이차전지/배터리
사용 후 배터리 고부가가치 활용을 위한 제품 개발 본격 추진
2021-03-03
편집부
LG화학, 국내 최초 리튬-황 배터리로 최고도 비행 성공
2020-11-05
편집부
200번 늘였다가 줄여도 끄떡 않는 배터리 개발
2020-11-05
편집부
압력으로 충전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소자 개발
2020-09-29
편집부
LG화학, 국내 최초 리튬-황 배터리로 최고도 비행 성공
2020-09-28
편집부
200번 늘였다가 줄여도 끄떡 않는 배터리 개발
2020-09-28
편집부
충전 없는 배터리 시대 앞당긴다...세계 최초‘염료감응 베타전지’개발
2020-09-03
편집부
저비용/고효율/대용량 나트륨 이온 배터리 개발
2020-08-03
편집부
실내 조명으로 충전되는 배터리 개발
2020-07-03
편집부
멕스플로러, 리튬이온 배터리용 그래핀잉크 개발
2020-06-24
편집부
고용량·고속충전 배터리용 ‘천연 고분자 바인더’ 개발
2020-06-10
편집부
서울대 ‘2차전지 핵심소재 지원센터’ 개소
2005-07-24
편집부
LS전선, 2차전지 소재 사업 집중 육성
2005-05-31
편집부
LG화학, 한양대와 2차전지 산학협력
2005-03-24
편집부
코발트 가격하락 2차전지 원가부담 줄어
2005-03-01
편집부
차세대 Li이온 2차전지 정극재료 LiFePO4의 가능성 높아
2005-02-13
편집부
미츠비시화학, 리튬 이온 배터리 4가지 주요재료 사업화
2004-12-28
편집부
리튬2차전지 수명 늘리는 핵심기술 개발
2004-12-28
편집부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이번달 많이 본 기사
1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민관 협의체 출범
2
전기차 리튬배터리 충전 15분이면 완충
3
원주시, 디에스테크노 등 반도체 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 체결
4
천 번 구부려도 그대로..재료硏, 고유연·고감도 암모니아 센서 개발
5
강원도, 2025년 제1회 반도체기업 투자유치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6
고에너지밀도 전고체전지용 저두께 고체전해질막 기술 개발 동향_신동옥
7
부산시,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 모색
8
미래나노텍, 히든 디스플레이 폼펙터로 자동차 및 가전 부품 시장 진출
9
고용량 및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를 위한 실리콘 음극기술_박현중
10
전기연-재료연 공동 연구, ‘분무 건조’ 기법으로 고용량 이차전지 개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