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25-04-19 06:43 (Sat)
뉴스종합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나노/바이오
에너지/환경
우주/항공
인공지능/로봇
양자
전기/전자/통신
3D프린팅
생활세라믹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부산대·인천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신소재 개발- 과산화마그네슘의 근분화 촉진 및 면역 조절 기전 규명- 전쟁·우주 등 극한 환경 응급 치료 전략 기대왼쪽부터 한동욱 부산대 교수, 박경민 인천대 교수, 강문성 부산대 박사후 연구원, 강전일 인천대 박사과정. (자료제공: 부산대)...
특집
특집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Special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최신 기술 개발 동향(2)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김화정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박사후 연구원백승욱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책임연구원1. 서론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더 안전하고 높은 성능...
기고/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_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글_김대환 동곡뮤지엄 관장·문화유산 평론가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
세라미스트광장
세라미스트광장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강원대 전경. (자료제공: 강원대)강원대학교(총장 정재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 과제에 선정됐다고 4월 16일 밝혔다.‘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
지난호보기
구독/광고신청
구독신청
광고문의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캘린더
인사동정(인사,동정,결혼,부고)
세라믹관련사이트
Top
홈
특집
특집
특집
생체 세라믹 재료의 3D 프린팅/윤범진
Special 소재산업 제조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2) 생체 세라믹 재료의 3D 프린팅 윤범진_전자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 1. 개요 지난 20여 년간 3D 프린팅 기술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으나,...
2020-09-29
디자인 및 공예, 예술분야 3D 프린팅 활용과 전망/최성권
Special 소재산업 제조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2) 디자인 및 공예, 예술분야 3D 프린팅 활용과 전망 최성권_이화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 1. 3D 프린팅 제조 기술의 등장과 발전 1...
2020-09-29
3D 프린팅 공정에서 세라믹 주형 및 중자의 강도 향상/정연길
Special 소재산업 제조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2) 3D 프린팅 공정에서 세라믹 주형 및 중자의 강도 향상 김은희_창원대학교 융합부품소재연구센터 연구교수정연길_창원대학교 신소재융합공...
2020-09-29
세라믹 바인더젯 3D프린팅의 공정 및 설계기법/김동현
Special 소재산업 제조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2) 세라믹 바인더젯 3D프린팅의 공정 및 설계기법 조은혜_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 제조공정센터 박사후연구원김동현_한국생산기술연구...
2020-09-29
5G 및 차세대 통신과 세라믹스_서승종
Special 5G 및 차세대 통신을 위한 소재부품 개발 동향(1) 5G 및 차세대 통신과 세라믹스 서승종_㈜월간세라믹스 대표이사 1. 서 론 달리는 기차에서도, 하늘을 나는 비행기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시...
2020-09-28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로 한국 반도체산업의 기술적 독립과 경쟁력 강화_서병주
Special 5G 및 차세대 통신을 위한 소재부품 개발 동향(1)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로 한국 반도체산업의 기술적 독립과 경쟁력 강화 서병주_㈜보부하이테크 대표이사 11. 반도체 산업의 시장 규모 및 ...
2020-09-28
인공지능 특이점 시대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_박상엽
Special 5G 및 차세대 통신을 위한 소재부품 개발 동향(1) 인공지능 특이점 시대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박상엽_강릉원주대학교 교수 1. 서론 최근 COVID19로 인한 펜데믹(Pandemic) 현상으로 전 ...
2020-09-28
세라믹 3D프린팅 기술 개발 및 응용현황/배창준
Special 소재산업 제조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1)세라믹 3D프린팅 기술 개발 및 응용현황장성완_재료연구소 박사후 연구원박수진_재료연구소 연구원손현진_재료연구소 연구생배창준_재료연구...
2020-09-04
3D 프린팅 바이오소재 개발 동향 및 전망/이헌주
Special 소재산업 제조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1)3D 프린팅 바이오소재 개발 동향 및 전망 이헌주_(주)로킷헬스케어 바이오 본부장 1. 개요 외상(外傷)으로 인한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 혹은 ...
2020-09-04
ICT 융합 전자소자 3D 프린팅 기술/양용석
Special 소재산업 제조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1)ICT 융합 전자소자 3D 프린팅 기술 양용석_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소자연구실 책임연구원 1. 개요3D 프린팅 기술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수요 맞...
2020-09-04
투명 유리 3D 프린팅 현황과 전망/한윤수
Special 소재산업 제조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개발 동향(1) 투명 유리 3D 프린팅 현황과 전망 김형준_한국세라믹기술원 수석연구원한윤수_한국세라믹기술원 책임연구원이혜지_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20-09-04
현대생활과 시멘트_김의철
Special 현대생활과 세라믹건재(2)현대생활과 시멘트 김의철_한국시멘트협회 기술지원팀장 1. 머릿말 6.25전쟁으로 폐허가 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살기 힘든 최빈국 중에 하나였다. 해외 언론들조...
2020-09-03
현대생활과 점토기와_한광석
Special 현대생활과 세라믹건재(2) 현대생활과 점토기와 한광석_고령기와 기업부설연구소장 1. 점토기와의 역사 지붕재로서 점토기와(clay roofing tile)의 역사는 유구하다. 유럽에서 불에 구운 테라코타...
2020-09-03
현대생활에서 돌아본 판유리시장의 변천사_김용신
Special 현대생활과 세라믹건재(2) 현대생활에서 돌아본 판유리시장의 변천사 김용신_한국판유리창호협회 본부장 1. 대한민국 건설산업의 근, 현대사에 주역 국내 판유리산업은 한국전쟁 이후에 시멘트, ...
2020-09-03
환경오염 저감 촉매 소재/최준환
Special미세먼지 방지 및 저감을 위한 환경소재 기술 동향 환경오염 저감 촉매 소재 최 준 환 _ 재료연구소 기능세라믹연구실 책임연구원 최근 몇 년 새에 미세먼지가 부쩍 심해지고 있고, 이 로 인...
2020-08-05
초미세먼지 저감용 나노 파이버 필터 소재 기술 개발 동향/권오석
Special미세먼지 방지 및 저감을 위한 환경소재 기술 동향 초미세먼지 저감용 나노 파이버 필터 소재 기술 개발 동향 권 오 석 _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박 선 주 _ 한국생명...
2020-08-04
발전소 분야 미세먼지 저감기술/이재구
Special미세먼지 방지 및 저감을 위한 환경소재 기술 동향 발전소 분야 미세먼지 저감기술 이 재 구 _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EP융합연구단 단장 1. 개요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삶의 질 악화가 이슈...
2020-08-04
실내 공기 정화용 항균성 세라믹 필터 소재 기술/이진형
Special미세먼지 방지 및 저감을 위한 환경소재 기술 동향 실내 공기 정화용 항균성 세라믹 필터 소재 기술 이 진 형 _ 한국세라믹기술원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센터 센터장 변 하 람 _ 한국세라믹기...
2020-08-04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끝
이번달 많이 본 기사
1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민관 협의체 출범
2
원주시, 디에스테크노 등 반도체 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 체결
3
강원도, 2025년 제1회 반도체기업 투자유치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4
고에너지밀도 전고체전지용 저두께 고체전해질막 기술 개발 동향_신동옥
5
미래나노텍, 히든 디스플레이 폼펙터로 자동차 및 가전 부품 시장 진출
6
부산시,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 모색
7
고용량 및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를 위한 실리콘 음극기술_박현중
8
전기연-재료연 공동 연구, ‘분무 건조’ 기법으로 고용량 이차전지 개발
9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10
정부,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품목 밀착 관리한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