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25-04-19 22:21 (Sat)
뉴스종합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나노/바이오
에너지/환경
우주/항공
인공지능/로봇
양자
전기/전자/통신
3D프린팅
생활세라믹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부산대·인천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신소재 개발- 과산화마그네슘의 근분화 촉진 및 면역 조절 기전 규명- 전쟁·우주 등 극한 환경 응급 치료 전략 기대왼쪽부터 한동욱 부산대 교수, 박경민 인천대 교수, 강문성 부산대 박사후 연구원, 강전일 인천대 박사과정. (자료제공: 부산대)...
특집
특집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Special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최신 기술 개발 동향(2)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김화정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박사후 연구원백승욱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책임연구원1. 서론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더 안전하고 높은 성능...
기고/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_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글_김대환 동곡뮤지엄 관장·문화유산 평론가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
세라미스트광장
세라미스트광장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강원대 전경. (자료제공: 강원대)강원대학교(총장 정재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 과제에 선정됐다고 4월 16일 밝혔다.‘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
지난호보기
구독/광고신청
구독신청
광고문의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캘린더
인사동정(인사,동정,결혼,부고)
세라믹관련사이트
Top
홈
특집
특집
특집
탄소중립의 핵심, 고효율 와이드밴드갭(WBG) 전력반도체 기술 동향_문재경
Special 첨단 기능성 세라믹소재 최신기술 및 산업응용 동향(1) 탄소중립의 핵심, 고효율 와이드밴드갭(WBG) 전력반도체 기술 동향 문재경_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전력부품연구실 책임연구원전대우_한...
2022-06-29
첨단세라믹 비산화물 질화규소 원료_이명현
Special 첨단 기능성 세라믹소재 최신기술 및 산업응용 동향(1) 첨단세라믹 비산화물 질화규소 원료 이명현_한국세라믹기술원 소재융합고도화연구본부 수석연구원김하늘_한국재료연구원 엔지니어링...
2022-06-29
리튬 이차전지 분리막용 보헤마이트 코팅제_김대웅
Special 첨단 기능성 세라믹소재 최신기술 및 산업응용 동향(1) 리튬 이차전지 분리막용 보헤마이트 코팅제 김대웅_케이씨(주) 기술연구소 연구소장박찬웅_케이씨(주) 기술연구소 연구팀장 1. 리튬 ...
2022-06-29
미래와 세라믹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미래와 세라믹1. 세라믹은 우리의 미래 일상과 산업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킬까요?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미래와 세라믹2. 우주선이 ...
2022-05-30
세라믹의 활용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세라믹의 활용2. 미래에는 세라믹이 어떻게 활용될까요?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세라믹의 활용2. 미래에는 세라믹이 어떻게 활용될까...
2022-05-30
세라믹의 특징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세라믹의 특징 1. 왜 도자기는 깨지고, 금은 깨지지 않는 걸까?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세라믹의 특징 2. 우리 몸에도 세라믹이? ...
2022-05-30
세라믹의 역사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세라믹의 역사1. 피라미드, 빗살무늬토기, 유리의 공통점?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세라믹의 역사2. 세라믹으로 완성된 기술력의 ...
2022-05-30
세라믹이란?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세라믹이란?1. 알고 보면 우리 주변은 온통 세라믹? Special 카드뉴스로 본 세라믹 바르게 알기세라믹이란?2. 고려청자와 용광로는 왜 세라믹으로 만들까...
2022-05-30
헬스케어 분야 유리산업_최용규,임형봉,김형준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헬스케어 분야 유리산업 최용규_한국항공대학교 교수임형봉_㈜하스 연구소장김형준_한국세라믹기술원 수석연구원 1. 서론 헬스케어...
2022-04-22
4차 산업혁명과 첨단 유리기술_한원택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4차 산업혁명과 첨단 유리기술 한원택_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세계문명의 산업화는 18세기 초기에 증기기관이 발명되...
2022-04-22
국내 병유리 산업현황 및 기술동향_방정훈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국내 병유리 산업현황 및 기술동향 방정훈_한국유리산업협동조합 부장 1. 병유리 산업 개요 우리나라의 유리산업을 제품 기준으로 구분...
2022-04-22
국내 판유리 산업현황 및 기술동향_김영주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국내 판유리 산업현황 및 기술동향 김영주_(사)한국판유리창호협회 본부장 1. 판유리 산업 정의와 범위 판유리산업이란 대형의 평활...
2022-04-22
탄소중립형 유리산업 기술개발 전략_김형준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 탄소중립형 유리산업 기술개발 전략 김형준_한국세라믹기술원 수석연구원 1. 탄소중립 배경 및 세계 동향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 ...
2022-04-22
우리나라 근현대 유리산업의 발자취_김철영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우리나라 근현대 유리산업의 발자취 김철영_인하대학교 명예교수 1. 머리말 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이집트에서 제조되기 시작된 ...
2022-04-22
한국 고대유리의 역사와 비밀_김규호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한국 고대유리의 역사와 비밀 김규호_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교수 1. 서론 유리는 도자기, 금속 등과 함께 인간이 만든 가장 오...
2022-04-22
한국 현대 유리의 현주소_고성희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 한국 현대 유리의 현주소 고성희_ 남서울대학교 유리세라믹디자인학과 교수 들어가며 1980년대에 들어 한국 예술가들의 소재 확장...
2022-04-22
UN 지정 ‘세계 유리의 해’ 의 의미와 전 세계적 기념행사 계획_황종희
Special UN지정 세계 유리의 해 그 의미와 유리소재의 패러다임UN 지정 ‘세계 유리의 해’ 의 의미와 전 세계적 기념행사 계획 황종희_UN 지정 세계유리의 해 한국 추진위원장 1. UN 지정 “세계 유리의 ...
2022-04-22
메타표면 AR 광학기술_김휘
Special 미래 첨단산업 핵심소재 및 선도기술 개발 동향(3) 메타표면 AR 광학기술 김휘_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전자정보공학과 교수 1. AR 광학기술의 소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사용자가 현실감...
2022-03-29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이번달 많이 본 기사
1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민관 협의체 출범
2
원주시, 디에스테크노 등 반도체 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 체결
3
강원도, 2025년 제1회 반도체기업 투자유치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4
고에너지밀도 전고체전지용 저두께 고체전해질막 기술 개발 동향_신동옥
5
미래나노텍, 히든 디스플레이 폼펙터로 자동차 및 가전 부품 시장 진출
6
부산시,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 모색
7
고용량 및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를 위한 실리콘 음극기술_박현중
8
전기연-재료연 공동 연구, ‘분무 건조’ 기법으로 고용량 이차전지 개발
9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10
정부,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품목 밀착 관리한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