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전략소재 자립을 위한 소재산업 생태계 조성 및 기술 개발 동향 (1)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 기술동향 및 소재동향
박 성 은 _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 선임연구원
태양광 시장은 2015년 12월 유엔기후변화협약과 2016년 11월 신 기후체계의 출범에 따라 재생에너 지의 확대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고 연평 균 20%의 성장률을 보일정도로 폭발적인 발전을 이룩해왔다. 파리기후협정 타결이후 수요가 개도국 으로 확산되어 앞으로도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 은 지속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4차 산업 혁명 의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부응한 에너지 공급의 변 화다각화 요구에 따라 재생에너지 관련 혁신적 기 술수요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보이고 글로벌 IT 기 업의 재생에너지산업 진출로 에너지 시장에서의 재 생에너지 확대는 가속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 정부는 파리협정의 이행 및 미래성장 동 력 강화와 더불어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신 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분야에 대한 지원정책 및 투자를 지속 할 것으로 보이며 신재생에너지 목 표발전량을 상향조정하는 등의 기술적, 정책적 이슈 화를 시키고 있다. 미국의 경우 신재생에너지의 목표 발전량을 2030년까지 28%, 중국의 경우 2020년까 지 15%, 일본의 경우 2030년까지 20%, EU의 경우 2030년까지 27%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맞는 기
술개발에 한창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 어서 에너지 전환정책을 수정하여 재생에너지 3020 플랜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의 국가 비 중을 현 6%대에서 20%대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 을 발표한 바 있다. [1] 특히 태양광 발전량을 2030년 30.8GW로 전체 재생에너지 중 약 60%를 태양광 을 통해 달성한다는 목표를 발표하였고 특히 이중 실리콘 기반의 태양광 비중은 90%에 육박할 정도 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목표의 설정과 함께 재생에너지의 일자리 창출의 규모에도 관심이 많아 태양광 산업의 경우 재생에너지 원별 고용부분에서 재생에너지 중 가장 많은 300만 명 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측되어 2017 년 대비 2018년에 약 12%가 증가할 만큼 중요한 산 업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태양광 산업의 경우 글로벌 가격경쟁력이 심화되고 있어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 특히 중요한 소재의 경우 일부 국산화가 되어 있지 못하여 수입의존도가 심한 실정임을 감안하면 재생 에너지 3020 플랜의 달성과는 무관하게 국내 기업 들의 이익 변동이 심하고 하향 조정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재생에너지원 중 가장 중요한 태양광 모듈, 셀, 소재 등을 전량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 에 직면할 수 있어 자칫 에너지 전환이라는 중요한 목표의 방향이 경제 프레임안에 갇혀 태양광을 중 심으로 한 에너지 전환 정책 자체의 존립이 우려되 는 매우 위중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러 한 소재 등의 자립화는 국내 태양광 산업의 가격경 쟁력, 기술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각 되고 있다.
-----------이하 생략
<본 사이트에는 일부 내용이 생략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세라믹코리아 2020년 5월호를 참조바랍니다. 정기구독하시면 지난호보기에서 PDF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