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25-04-19 22:21 (Sat)
뉴스종합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나노/바이오
에너지/환경
우주/항공
인공지능/로봇
양자
전기/전자/통신
3D프린팅
생활세라믹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부산대·인천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신소재 개발- 과산화마그네슘의 근분화 촉진 및 면역 조절 기전 규명- 전쟁·우주 등 극한 환경 응급 치료 전략 기대왼쪽부터 한동욱 부산대 교수, 박경민 인천대 교수, 강문성 부산대 박사후 연구원, 강전일 인천대 박사과정. (자료제공: 부산대)...
특집
특집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Special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최신 기술 개발 동향(2)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김화정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박사후 연구원백승욱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책임연구원1. 서론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더 안전하고 높은 성능...
기고/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_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글_김대환 동곡뮤지엄 관장·문화유산 평론가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
세라미스트광장
세라미스트광장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강원대 전경. (자료제공: 강원대)강원대학교(총장 정재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 과제에 선정됐다고 4월 16일 밝혔다.‘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
지난호보기
구독/광고신청
구독신청
광고문의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캘린더
인사동정(인사,동정,결혼,부고)
세라믹관련사이트
Top
홈
특집
특집
특집
고순도 산화이트륨의 표준물질 개발 및 분석방법 표준화_이연숙
Special 세라믹스 국제표준화 최신 동향(2) 고순도 산화이트륨의 표준물질 개발 및 분석방법 표준화 이연숙_한국산업기술시험원 재료기술센터 연구원김용남_한국산업기술시험원 재료기술센터 수석연구...
2021-11-02
벌크형 열전소재 표준화 연구_이규형
Special 세라믹스 표준화 동향(1) 벌크형 열전소재 표준화 연구 이규형_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1. 서론 열전(thermoelectric)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고체상태의 소재에서 소재 양단에 온도차...
2021-09-29
전도성 세라믹 전극소재의 전기전도도 측정방법 국제표준화 _류지승
Special 세라믹스 표준화 동향(1) 전도성 세라믹 전극소재의 전기전도도 측정방법 국제표준화 류지승_한국세라믹기술원 기업지원본부 선임기술원조강희_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박사과정김용남_한...
2021-09-29
세라믹스 국제표준화(ISO/TC 206) 최신 동향_김용남
Special 세라믹스 표준화 동향(1) 세라믹스 국제표준화(ISO/TC 206) 최신 동향 김용남_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재료기술센터 수석연구원 이희수_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조강희_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2021-09-29
세라믹 재료의 치과 응용 및 그의 산업 동향 /배태성
Special 차세대 바이오 융합소재 개발 및 산업응용 동향(2) 세라믹 재료의 치과 응용 및 그의 산업 동향 배태성_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학교실 교수 1. 서론 치아가 상실되거나 손상된...
2021-08-27
바이오세라믹 기반 3D 프린팅 소재 및 공정기술 최신 동향/오진우
Special 차세대 바이오 융합소재 개발 및 산업응용 동향(2) 바이오세라믹 기반 3D 프린팅 소재 및 공정기술 최신 동향 강문성_부산대학교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김춘태_부산대학교 BIT융...
2021-08-27
골 수복용 인산칼슘계 생체소재 개발 동향/윤석영
Special 차세대 바이오 융합소재 개발 및 산업응용 동향(2) 골 수복용 인산칼슘계 생체소재 개발 동향 윤석영_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서론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21년 4월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2021-08-27
생체분자 압전 펩타이드 기반 에너지 발전소자 개발 동향_이주혁
생체분자 압전 펩타이드 기반 에너지 발전소자 개발 동향 이주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공학전공 교수 1) 압전효과 압전(piezoelectric)효과란 "압력에 의한 전기”라는 뜻을 의미하며 반전 대칭...
2021-07-27
단백질 분해효소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개발_신동식
단백질 분해효소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개발 조하나_숙명여자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박사과정신동식_숙명여자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교수 1. 단백질 분해효소 단백질 분해효소는 단백질을 가수분...
2021-07-27
인체삽입을 위한 의료소자용 생흡수성 전자소재_구자현
인체삽입을 위한 의료소자용 생흡수성 전자소재 구자현_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과 교수 최근 전자소재의 발전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 작동 후, 정해진 시간 안에 용해(dissolution), 분해(degradat...
2021-07-27
생분해성 전자세라믹 소재 및 바이오 응용_강승균
생분해성 전자세라믹 소재 및 바이오 응용 강승균_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1. 서론 전자소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자소자를 활용한 의료 진단치료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인체에 부...
2021-07-27
친환경 무연 압전 세라믹스 소재 개발 동향_조경훈
Special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라믹소재 기술개발 동향(2) 친환경 무연 압전 세라믹스 소재 개발 동향 조경훈_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유일열_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연구...
2021-07-01
탄소자원화(CCU) 기술의 현재와 미래_허일정
Special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라믹소재 기술개발 동향(2) 탄소자원화(CCU) 기술의 현재와 미래 허일정_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진희_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 1. CCU(Carbon Capture and Utili...
2021-07-01
실리콘 웨이퍼에 따른 태양전지 기술 동향_박성은
Special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라믹소재 기술개발 동향(2) 실리콘 웨이퍼에 따른 태양전지 기술 동향 박성은_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태양광 시장은 2018년 이후 급변화하는 형국...
2021-07-01
차세대 배터리 소재 최신 기술 동향-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를 중심으로_하윤철
Special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라믹소재 기술개발 동향(2) 차세대 배터리 소재 최신 기술 동향-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를 중심으로 하윤철_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I. 서론 2016년 발...
2021-07-01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비전과 친환경 제조기술_김의철
Special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라믹소재 기술개발 동향(2)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비전과 친환경 제조기술 김의철_한국시멘트협회 품질인증센터 센터장 1. 서론 지난해부터 나라 안팎으로...
2021-07-01
수처리용 세라믹 분리막 최신 기술 동향 _송인혁
Special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라믹소재 기술개발 동향(1) 수처리용 세라믹 분리막 최신 기술 동향 송인혁_한국재료연구원 세라믹재료연구본부 책임연구원 하장훈_한국재료연구원 세라믹재...
2021-05-27
그린수소 대량 생산을 위한 고체산화물수전해(SOEC) 최신 기술 동향_김선동
Special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라믹소재 기술개발 동향(1) 그린수소 대량 생산을 위한 고체산화물수전해(SOEC) 최신 기술 동향 김선동_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1. 서론 지구촌...
2021-05-27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이번달 많이 본 기사
1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민관 협의체 출범
2
원주시, 디에스테크노 등 반도체 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 체결
3
강원도, 2025년 제1회 반도체기업 투자유치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4
고에너지밀도 전고체전지용 저두께 고체전해질막 기술 개발 동향_신동옥
5
미래나노텍, 히든 디스플레이 폼펙터로 자동차 및 가전 부품 시장 진출
6
부산시,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 모색
7
고용량 및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를 위한 실리콘 음극기술_박현중
8
전기연-재료연 공동 연구, ‘분무 건조’ 기법으로 고용량 이차전지 개발
9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10
정부,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품목 밀착 관리한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