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2025-04-19 22:21 (Sat)
뉴스종합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배터리
모빌리티
나노/바이오
에너지/환경
우주/항공
인공지능/로봇
양자
전기/전자/통신
3D프린팅
생활세라믹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산소 품은 바이오잉크, 손상 근육 살린다- 부산대·인천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신소재 개발- 과산화마그네슘의 근분화 촉진 및 면역 조절 기전 규명- 전쟁·우주 등 극한 환경 응급 치료 전략 기대왼쪽부터 한동욱 부산대 교수, 박경민 인천대 교수, 강문성 부산대 박사후 연구원, 강전일 인천대 박사과정. (자료제공: 부산대)...
특집
특집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Special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최신 기술 개발 동향(2)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김화정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박사후 연구원백승욱_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화학소재측정본부 책임연구원1. 서론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함께 더 안전하고 높은 성능...
기고/칼럼
칼럼
기고
인터뷰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_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8]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글_김대환 동곡뮤지엄 관장·문화유산 평론가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
세라미스트광장
세라미스트광장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
강원대, 「2025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과제 선정강원대 전경. (자료제공: 강원대)강원대학교(총장 정재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업」 사전기획 과제에 선정됐다고 4월 16일 밝혔다.‘지역산업연계 대학 Open-Lab 육성지원사...
지난호보기
구독/광고신청
구독신청
광고문의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캘린더
인사동정(인사,동정,결혼,부고)
세라믹관련사이트
Top
홈
특집
특집
특집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술 동향_윤경중
Special 그린뉴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세라믹소재 기술개발 동향(1)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기술 동향 윤경중_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 1. 서론 연료전지는 전기화학반응을 ...
2021-05-27
세라믹 제조혁신 플랫폼의 산업적 비전_지수영
Special 세라믹산업 디지털기반 제조혁신 기술 개발 동향 세라믹 제조혁신 플랫폼의 산업적 비전 지수영_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공지능연구소 책임연구원/PL 1. 서론 세라믹 산업은 광범위한 산...
2021-04-29
“i-Ceramic 제조혁신 플랫폼” 사업 소개_이승협
Special 세라믹산업 디지털기반 제조혁신 기술 개발 동향 “i-Ceramic 제조혁신 플랫폼” 사업 소개 이승협_한국세라믹기술원 나노소재공정센터 선임연구원/센터장 1. 서론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
2021-04-29
세라믹 소재혁신을 위한 세라믹산업협력단_양희춘
Special(2) 소재 자립화를 위한 세라믹 소재혁신 산업협력단 세라믹 소재혁신을 위한 세라믹산업협력단 양희춘_세라믹산업협력단 단장 1. 소재·부품·장비산업 협력단 추진 배경 가. 일본 수출 규제 ...
2021-03-26
반도체/전자산업용 극한환경 반응형 필터 핵심소재 개발_조소혜
Special(1) 소재 자립화를 위한 세라믹 소재혁신 선도 프로젝트 반도체/전자산업용 극한환경 반응형 필터 핵심소재 개발 조소혜_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센터장송인혁_한국재료연...
2021-03-26
고성능 결정립 배향 압전 다결정 핵심소재 개발_강종윤
Special(1) 소재 자립화를 위한 세라믹 소재혁신 선도 프로젝트 고성능 결정립 배향 압전 다결정 핵심소재 개발 강종윤_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자재료연구센터 센터장최종진_한국재료연구원 기능세라...
2021-03-26
오염입자 저감 내플라즈마 소재 기술 개발 사업 소개_이성민
Special(1) 소재 자립화를 위한 세라믹 소재혁신 선도 프로젝트 “오염입자 저감 내플라즈마 소재 기술 개발” 사업 소개 이성민_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장 1. 서 론 반도체 공정이 극자외선(E...
2021-03-26
초전도 세라믹 최신 기술동향 및 산업전망/오상수
Special 디지털 뉴딜과 광전자 세라믹 소재(2) 초전도 세라믹 최신 기술동향 및 산업전망 오상수_한국전기연구원/초전도연구센터 위촉 책임연구원 1. 서론 전기적인 응용의 관점에서 보면 초전도체(s...
2021-03-03
에너지 저장용 유전체 세라믹 커패시터의 재료 및 기술 개발 동향 /부상돈
Special 디지털 뉴딜과 광전자 세라믹 소재(2)에너지 저장용 유전체 세라믹 커패시터의 재료 및 기술 개발 동향 조삼연_전북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부상돈_전북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1. 서론 세계 ...
2021-03-03
촉각증강을 위한 압전 세라믹의 최신 기술동향 및 산업전망/홍승범
Special 디지털 뉴딜과 광전자 세라믹 소재(2)촉각증강을 위한 압전 세라믹의 최신 기술동향 및 산업전망 홍승범_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교수엄성문_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1. 서론 압...
2021-03-03
가스센서 세라믹 최신 기술 동향 및 산업 전망/김현우
Special 디지털 뉴딜과 광전자 세라믹 소재(2) 가스센서 세라믹 최신 기술 동향 및 산업 전망 김현우_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1. 서 론 세라믹스는 내열성, 내식성, 내마모성등 특성으로 인해 ...
2021-03-03
광전자 세라믹 최신 기술 동향 및 산업전망_이시현
Special 디지털 뉴딜과 광전자 세라믹 소재(1) 광전자 세라믹 최신 기술 동향 및 산업전망 이시현_경기대학교 교수 서론 녹색 혁명이라 일컬어 지는 Green Revolution은 전세계 국가들이 정부 주도적으로 ...
2021-01-29
영구자석재료의 최신 연구 및 기술개발 동향_최철진
Special 디지털 뉴딜과 광전자 세라믹 소재(1) 영구자석재료의 최신 연구 및 기술개발 동향 최철진_한국재료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지훈_한국재료연구원 선임연구원임정태_한국재료연구원 Post-doc 연구원 ...
2021-01-29
광소재 세라믹 최신 기술 동향 및 산업전망 _최원국
Special 디지털 뉴딜과 광전자 세라믹 소재(1)광소재 세라믹 최신 기술 동향 및 산업전망 최원국_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세라믹 소재는 그 응용 기술 범위에 따라 광·전자, 기계.구조, 에너지....
2021-01-29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응용 가능한 원자층 증착법 산화물 반도체 연구 동향_박진성
Special 디지털 뉴딜과 광전자 세라믹 소재(1)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응용 가능한 원자층 증착법 산화물 반도체 연구 동향 정현준_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박사후연구원박진성_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2021-01-29
차세대 자동차용 고강도 경량 복합소재 기술개발 동향 _ 박성민
Special 차세대 전기차용 소재기술 개발 동향 및 산업전망(2)차세대 자동차용 고강도 경량 복합소재 기술개발 동향 박성민_다이텍연구원 수석연구원 1. 탄소섬유 복합재 탄소섬유 복합재료는 탄소섬유...
2020-12-29
차세대 자동차용 스마트유리 기술개발 동향 _ 김진호
Special 차세대 전기차용 소재기술 개발 동향 및 산업전망(2)차세대 자동차용 스마트유리 기술개발 동향 김진호_한국세라믹기술원 광∙전자부품소재센터 센터장 1. 서론 인공지능 차세대 자동...
2020-12-29
차세대 자동차용 WBG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동향 _ 문재경
Special 차세대 전기차용 소재기술 개발 동향 및 산업전망(2)차세대 자동차용 WBG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동향 문재경_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전력부품연구실 책임연구원 1. 서론 전력반도체(Power Semicondu...
2020-12-29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끝
이번달 많이 본 기사
1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민관 협의체 출범
2
원주시, 디에스테크노 등 반도체 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업무협약 체결
3
강원도, 2025년 제1회 반도체기업 투자유치 실무협의체 회의 개최
4
고에너지밀도 전고체전지용 저두께 고체전해질막 기술 개발 동향_신동옥
5
미래나노텍, 히든 디스플레이 폼펙터로 자동차 및 가전 부품 시장 진출
6
부산시,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 모색
7
고용량 및 장수명 전고체 배터리를 위한 실리콘 음극기술_박현중
8
전기연-재료연 공동 연구, ‘분무 건조’ 기법으로 고용량 이차전지 개발
9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向 한계 극복 기술 연구_김화정
10
정부,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품목 밀착 관리한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