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노융합확산협력전략 MOU 체결
- 나노시장 조기선점과 R&D 중복성 제거
- 산·학·연·관의 융합과 협력 강조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나노분야에서의 R&D가 중복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부 개발 기술의 산업부 즉시 연계 지원 등을 주요 테마로 한 ‘미래부-산업부 나노융합확산협력전략’을 수립·발표했다.
이 전략을 통해 양부처간의 나노 R&D를 연계·지원하고, 양부처 소관 나노 인프라기관의 서비스를 표준화·체계화 하는 한편, 고급나노인력을 산업계와 연계해 취업 지원과 양부처 인프라 및 전문가들의 역량을 모아 나노기업의 사업화를 적극 지원한다. 또 ‘나노융합확산 민관 협력위원회’를 구성, 전략의 이행을 분기별 1회 개최해 이행사항을 점검하기로 했다.
‘미래부-산업부 나노융합확산 협력전략’은 기초연구부터 상용화까지 소요시간을 최대 2년 단축(10년→8년)해 시장 조기 선점이 가능하고, R&D 중복성 제거를 통해 14~20% 정도 연구개발 예산 절감과 연 200명 이상의 추가 고용 창출을 기대한다. 양대규기자 daegyu_yang@naver.com
나노융합확산협력전략 발표회
미래부 이상목 1차관과 산업부 김재홍 1차관은 지난달 20일 과총회관에서 ‘미래부-산업부 나노융합확산협력전략’에 관한 발표회와 전략 이행 촉진과 협력강화를 위해 양부처간 ‘나노융합 확산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미래부 이상목 1차관과 산업부 김재홍 1차관을 비롯해 산업부·미래부 담당 정책관과 과장 등이 정부대표로 참석했으며,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이기섭 원장, 한국연구재단 정민근 이사장, 전략기획단 박희재 단장,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이희국 이사장, 나노기술협의회 서상희 회장, 나노인프라협의체 박찬경 회장, 나노융합2020사업단 박종근 단장이 유관기관 대표로 참석, 서울대 김기범 교수, 명지대 최영진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김석준 원장(대행)이 학·연 대표, ㈜상보 김상근 대표이사, 엔젯(주) 변도영 대표이사, ㈜제이오 강득주 대표이사가 산업계 대표로 참석했다.
산·학·연·관의 주요 인사 20여명이 대표로 참석한 이번 행사는 양부처 실무과장의 나노융합확산협력전략(이하 전략) 발표로 시작됐다.
전략을 간추려 보면, 부처간 협업을 통한 나노기술 산업 강국으로 자리잡는 것을 비전으로 제시하며, 전주기 나노 R&D 협력체계 구축으로 성과창출을 촉진하며,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나노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요대응형 나노전문 인력양성 및 고급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또 세부 추진과제를 바탕으로 성과창출·예산절감·고용창출 등의 효과를 기대한다.
양부처 과장들의 발표 후 차관들의 MOU 체결식이 진행됐다. 체결식 이후에는 ㈜엔젯 변도영 대표의 나노융합 협력사례 발표와 나노융합2020사업단 박종구 단장의 나노융합2020사업추진현황 발표가 있었다.
나노입자제어기술을 바탕으로 나노 프린터와 나노 코터를 개발한 ㈜엔젯 변도영 대표는 “미래부의 도약기술개발사업과 산업부의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프린터와 코터를 개발할 수 있었다.”며,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투명전극은 대만의 규모가 크다. 전략을 통해 국내 관련 산업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전략의 순기능을 강조했다. 또, 나노융합2020사업단 박종구 단장은 발표에서 “이전에는 산업부·미래부의 개별 사업 진행으로 융합에 애로가 있었다.”며, “양부처는 원천기술 발굴과 기술이전 지원을 연계·확대하면 전략이 큰 성과를 보일 것이다.”고 밝혔다.
발표 후에는 참석자들의 간담회가 있었다. 서울대 김기범 교수는 “15년 전, 나노연구를 준비하며 산·학·연의 협력과 국가인프라의 필요성을 통감했는데, 양부처간 상호협약식을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축하한다.”며, “전략보다 중요한 것은 연구자들과 공원들의 생각하는 방식과 같이 일을 해서 나오는 결과의 분배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상보 김상근 대표이사는 “창조경제에서 미래부·산업부의 MOU체결로 인한 융합의 성과가 나왔다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성과이다.”라며, “27에 회사를 설립해 60이 되었는데, 그간 소재에서 항상 부족한 나라였다. 이번 전략을 계기로 나노융합 소재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계연구원 김석준 원장대행은 “10년전 나노메카트로닉스 사업단을 진행할 당시만 해도 과연 우리나라에 나노전문가가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졌다.”라며, “지금은 14,000여명의 종사자가 있고, 연구원에도 나노관련 본부에 100여명의 직원이 있다.”며 나노기술의 성장을 반기며, 전문가들의 긴밀한 만남을 강조했다.
산업부 김재홍 차관은 “그림을 잘그려도 중요한 것은 실전이다.”며 계획의 실천을 통한 성과를 강조했다. 또, 미래부 이상목 차관은 “김재홍 차관의 말처럼 실전이 중요하다.”며 “양부서의 실무국·과장들이 준비를 잘했다. 앞으로 지속적인 교류로 사업진행을 잘 부탁한다.”고 실무자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번 나노융합확산협력전략의 구체적인 내용은 미래부 홈페이지(www.msip.go.kr)또는 산업부 홈페이지(www.motie.go.kr)를 통해 확인가능하다.
미래창조과학부 이상목 제1차관
산업통상자원부 김재홍 제1차관
(주)엔젯 변도영 대표가 나노융합협력사례를 발표한다.
나노융합2020사업단 박종구 단장이 사업추진현황을 발표한다.
나노융합확산전략 MOU 체결식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