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업종 탄소중립 기술개발 본격 착수
- 산업부-업종 대표사, 탄소중립 원탁회의 및 협약식 개최
- 기술혁신을 통해 2050년 온실가스 1.2억 톤 감축 목표
산업통상자원부는 2월 22일 서울 종로 포시즌스호텔 누리볼룸에서 이창양 장관 주재로 ´탄소중립 기술개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하고, 「4대 업종 탄소중립 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김교현 롯데케미컬 부회장, 안동일 현대제철 사장,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이현준 쌍용C&E 사장, 전근식 한일시멘트 사장, 조성순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전윤종 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을 비롯한 업종별 협회장 및 주요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날 라운드테이블에서 산업부는 「산업 부문 탄소중립 R&D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화학, 철강, 시멘트,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4대 탄소다배출 업종의 대표기업들과 함께 그랜드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탄소중립 기술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철강 등 4대 업종은 산업 부문 배출량(‘18년 기준 2.6억 톤)의 72%(1.9억 톤)에 해당하는 다량의 탄소를 배출하고 있으나, 생산 공정에서 탄소감축 수단이 없어 2050년 탄소중립 목표 실현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업계와 함께 작년부터「4대업종 탄소중립 기술개발사업」을 기획하고 예타를 통과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올해부터 탄소저감 기술개발에 본격 착수하게 되었다.
탄소중립 기술개발은 산업구조의 그린전환을 위한 첫 단추로서 1석 4조의 효과가 예상된다. 제품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할 수밖에 없는 우리 산업의 특성상 기술혁신은 유일한 탄소감축 수단이며, 그린 전환에 수반되는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탄소중립의 시기를 앞당기면서, 저탄소 기술을 활용한 신제품․신공정 개발을 통해 글로벌 그린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4대 업종의 탄소중립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50년 약 1.2억 톤의 온실가스 감축이 기대되며, 이는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18년 대비 약 2.1억 톤 감축)의 절반을 넘어서는 규모(목표 대비 54%)다.
정부와 산업계는 개발기술을 즉시 상용화할 수 있도록 전체 예산의 80%를 실증사업과 연계된 프로젝트에 투입하고, 업종별 그랜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개발 성과를 업종 전체에 확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술개발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사업화에 필요한 세제・금융지원 및 규제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할 예정이다.
핵심기술 확보 위해 2030년까지 9,352억 원 투자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9,352억 원을 투자하여 산업 부문 탄소저감 기술을 본격 개발한다.‘23.4월 「탄소중립 산업핵심 기술개발」(총사업비 9,352억 원, ‘23∼’30) 공모를 착수한다. 이를 통해 나프타 전기분해로(화학), 수소환원제철(철강), 시멘트 제조시 유연탄과 석회석 원료의 대체, 반도체/디스플레이用 저온난화 공정가스 등 핵심기술을 확보함은 물론, 산업 현장에 해당 기술들을 즉시 상용화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과 함께 실증사업도 연계하여 추진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신규 R&D 프로젝트를 발굴할 예정이다. 아울러, 개발된 탄소저감 기술들이 산업 현장에 활발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업종별로 그랜드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기술교류를 촉진한다.
또한, 실증 과제가 많아 실증 부지·설비 등 민간의 현물 투자 규모가 상당한 점을 고려하여, 부담 완화 차원에서 민간 현금 매칭 비율을 기존 대비 1/4로 낮추고, 한정된 전문 연구자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중견·중소기업의 참여 과제 수 제한(중소기업 3개, 중견기업 5개)을 철폐하고, 필요시 연구자의 동시수행 과제 한도도 상향한다.
투자 촉진
산업 부문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투자세액 공제를 지속 확대한다. 작년부터 “신성장・원천기술” 투자세액 감면 대상에 포함된 수소환원제철 등 48개 기술에 이어 올해 2월부터 철강 단조⦁압연공정 등 13개 기술도 추가적으로 ‘신성장・원천기술’에 포함된다.
탄소중립 선도 프로젝트 특별융자(산업부, 1,470억 원), 저탄소 산업구조 촉진프로그램(수출입은행, 3.5조 원) 등 정책금융과 탄소중립 기술펀드(1000억 원, 산업부) 등을 통해 탄소저감 기술의 사업화도 적극 지원한다.
제도 개선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가로막는 낡은 규제나 기준을 선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새로운 친환경제품에 대한 품질기준이나 신기술의 탄소감축 인정체계를 수립하고, 아울러,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국가표준 100종을 개발하고,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 선점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참석자들은 현재와 같이 감축수단이 빈약한 상황에서 규제 중심의 탄소감축은 제조업의 역성장 등 부작용이 수반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기업이 기술개발을 통해 탄소감축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R&D 참여부터 실제 설비를 운용하기까지 막대한 비용과 리스크가 수반되는 만큼, R&D 참여 부담 완화, 세제지원, 금융지원 등과 함께 규제 해소 등 제도적 지원 노력도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하 생략
<</span>본 사이트에는 일부 내용이 생략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세라믹코리아 2023년 4월호를 참조바랍니다. 정기구독하시면 지난호보기에서 PDF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