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5.26 - 2004.6.1
(재)한국공예문화진흥원 별관전시실
문양에 대한 사고의 전환
글 우관호 _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교수
지난 5월 26일부터 6월 1일까지 공예문화진흥원 갤러리에서 열린 공영래 도예전은 오랜기간 전업작가로 살아온 이력을 과시하듯 상당한 규모였고 더욱이 첫 번째 개인전이라서 그런지 작품에 기울인 공력 또한 녹록치 않았다.
일, 이층 전시장을 가득 메운 작품들은 숫자도 그러려니와 크기 또한 보통은 넘는 것들이었고 한 점 한 점의 표면에 새겨진 문양들도 오랜 시간을 들인 노작들이었다.
대부분의 형태들은 실용을 염두에 둔 도자기 본연의 모습을 취하고 있었으나 크기로만 생각하면 그릇으로 보기에 어려운 꽉 찬 형태감이 인상적이었다. 그럼에도 문양들은 한결같이 전통적이면서 서정적이어서 보는 이로 하여금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들이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작가 자신의 특별한 기교나 기술을 내세웠다기 보다는 오랜기간 작업을 해오면서 느끼고 우러나는 감정들이 오롯이 녹아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의 말을 빌어 보면 더욱 공감이 가는 부분이 있다.
“한때 군계일학같은 작품을 만들어 보려고 호기도 부려 보았고 나만의 고집스러운 작품세계를 구축하려고 고민도 해 보았다. 그러나 그보다 우선되어야 하는 것이 작가는 언제나 대중과 더불어 살고 그들의 생각을 담고 표현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은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결국 공영래는 작품이란 것이 인간의 삶과 멀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며 또 그것을 실천하고 있었다. 사실 공영래의 작품을 어떤 틀에 담는다면 선각과 박지기법이 주를 이루는 분청이라고 말할 수 있다. 분청에서도 선각과 박지는 상감기법에 못지않게 공을 들여야 하는 부류이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대중에게 가까우면서 작가적 고집을 지키는 사례가 된다.
이상이 공영래의 작품을 보는 초보적인 관점이다.
그러나 이번 작품에서 도입된 부적문양을 읽어내면 관점은 완전히 달라진다. 연과 오리 학 대나무 초화 소나무 사슴 등 십장생류의 문양들과 함께 표현된 부적문들은 기이하다 할 정도로 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특히 박지목단문 가운데 삼각형으로 구획을 설정하고 금채 부적문을 표현한 작품은 두 문양의 조화와 부조화를 떠나 그로데스크한 에너지를 내뿜고 있었다.
공영래는 사람가까이 있는 작품을 하고 싶은 작가이고 그러기 위해서 친숙한 문양들을 선택했을 것이다. 더욱이 부적과 같이 기복과 벽사의 의미를 담은 소재를 사용한 것은 그의 작품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들 본연의 의미를 무시하고 구성과 색채에만 집중하여 본다면 작가의 의도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영역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들은 부적의 구성조건 가운데서 특히 붉은색의 주사(朱沙)가 가진 강렬한 에너지의 상징이 치환되어 권력적 기호가 됨을 알 수 있고 십장생류의 문양은 피지배의 세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읽혀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도자기의 문양이 가진 편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도자기에 그려지기만 하면 문양은 종속되어 부수적인 것이 되어 버리고 관객들 또한 표피적인 선입견으로 대할 따름이다. 공영래의 이번 개인전을 보고 느낀 가장 큰 소득은 문양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사고의 전환이었다.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